Windows 7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에 Windows 11 운영체제 설치 [듀얼부팅 (Dual Booting)]

안녕하세요. 이번 블로그 내용은 Windows 7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에 Windows 11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두 개의 운영체제가 한 개의 디스크에 설치되는 과정이다 보니 다소 긴 절차이나 그렇게 어렵지 않으니 따라와 보세요.


Windows 7 운영체제는 공식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지원을 더 이상하지 않는 운영체제이나 특정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실행하기 위해 아직 많은 유저가 사용하고 있는 OS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출시한 많은 운영체제가 있으나 그중에서도 top 3에 들만큼 꽤 잘 만든 OS라 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가 여러개 있으면 좋겠으나 한개의 물리디스크에 여러개의 논리파티션을 생성하여 다수의 운영체제를 설치하면 
비용과 관리차원에서 훨씬 큰 이점이 있습니다.
자 이제 Windows 7이 설치된 디스크에 Windows 11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Windows 7 운영체제가 설치된 디스크의 파티션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실행창에 WinKey+R 입력)

'디스크 관리'창에서 중간부분에 있는 '디스크 0' 항목을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눌러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속성' 창에서 '볼륨' 탭으로 이동하여 '파티션 형식'을 확인합니다. 

현재 MBR (마스터 부트 레코드) 파티션 상태입니다. 

(반드시 파티션 형식이 "MBR 파티션"으로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Windows 11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물리 디스크에 하나의 파티션이 생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논리 파티션이 추가로 생성되어야 합니다.

(해당되는 파티션에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볼륨 축소'를 클릭합니다.

 

전체 120GB 용량의 디스크에서 축소할 용량을 입력합니다. 대략 반 정도 할당하겠습니다.

 

(새로 확보된 파티션에서) '새 단순 볼륨' => '다음' => '다음' => '다음'

 

볼륨 레이블에 'Windows 11'으로 명명하겠습니다.

=> '다음' => '마침'을 클릭합니다.

 

Windows 11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는 논리파티션이 생성되었습니다.

 

Windows 11 운영체제를 설치하기에 앞서 준비해야할 사항이 있습니다.

우선 Windows 11 USB 부팅 디스크를 생성해야 됩니다.

인터넷에서 'Rufus'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합니다. (인터넷에서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음)

 

인터넷에서 'Rufus'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합니다. 

빈 USB 디스크를 꽂고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은 Windows 11 ISO 파일을 연결 후 

(Windows 11 ISO 파일은 다음 링크에서...)

https://www.microsoft.com/ko-kr/software-download/windows11

 

Windows 11 다운로드

요청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중입니다. 이 작업은 몇 분 정도 걸릴 수 있습니다. 페이지를 새로 고치거나 뒤로 이동하지 마세요. 그러면 요청이 취소됩니다.

www.microsoft.com

 

파티션 구성을 'MBR' 파티션으로 지정합니다.

 

원하는 볼륨 레이블을 명명합니다. 여기서는 'Windows 11'으로 명명합니다.

 

Windows 11 USB 부팅 디스크가 만들어졌습니다.

 

Windows 11 USB 부팅 디스크안에 레지스트리에 등록할 항목들을 담은 파일도 넣습니다.

TPM, SecureBoot, RAM, Storage check를 바이패스하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 내용은 하단부에 있음)

 

Windows 11 USB 부팅 디스크를 첫번째 부팅 장치로 설정하기위해 BIOS메뉴로 진입합니다.

 

저장하고요.

 

Windows 11 설치 화면입니다.

"Shfit+F10"을 누릅니다. (Shift와 F10 키를 동시에 누름)

 

커맨드창에서 'notepad'를 입력후 Enter를 누릅니다.

 

파일 열기 

 

파일형식을 '모든 파일'

 

Windows 11 USB 부팅 디스크로 가서 

 

레지스트리 파일 (tpm.reg)을 선택후 '병합'을 클릭합니다.

 

"tpm.reg"에 포함되어 있는 바이패스 명령어가 레지스트리에 추가되었습니다.

 

"exit"을 입력한 후 빠져나옵니다.

 

Windows 11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할 운영체제를 선택합니다.

 

"드라이브0파티션 2" 는 Windows 7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으며

"드라이브0파티션 3: Windows 11" 항목을 선택하여 포맷 후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Windows 11 설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Windows 11 운영체제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현재 Windows 11 운영체제가 설치된 바탕화면에서 'C'는 Windows 11 이 설치되고 'D'는 Windows 7이 설치된 상태입니다.

 

다시 시작후 'Windows 부팅 관리자'에서 Windows 7 운영체제로 전환해 보겠습니다.

 

Windows 7 운영체제의 바탕화면입니다.

'C'는 Windows 7 이 설치되고 'D'는 Windows 11이 설치된 상태입니다.

 

이상으로 Windows 7 운영체제가 설치된 컴퓨터에 Windows 11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블로그를 마치고자 합니다.

 

[TPM, SecureBoot, RAM, Storage check를 바이패스하는 명령어 내용]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Setup\LabConfig]
"BypassTPMCheck"=dword:00000001
"BypassSecureBootCheck"=dword:00000001
"BypassRAMCheck"=dword:00000001
"BypassStorageCheck"=dword:00000001
"AllowUpgradesWithUnsupportedTPMOrCPU"=dword:00000001

 

 

ASUS ZenBook 노트북에 Windows 10 USB 설치 및 노트북 해체를 시도해 본다.

USB 부팅 Disk를 만드는 방식에는 MBR 및 GPT 형식이 있다.

그중 먼저 MBR 형식으로 만든 USB로 ASUS 노트북 BIOS 메뉴에서 인식 여부를 확인해본다.

 

BIOS 메뉴의 첫화면이다. CPU가 AMD Razen 5 3500U이며 8G RAM이 장착되어 있다.

 

NVMe M.2 SSD가 내장되어 있어 'Advanced' 탭에서 기본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MBR 형식으로 만든 USB는 레거시(Lagacy) 방식이므로 UEFI 설치가 지원되지 않아 'Boot Option Priorities' 아래에 해당 USB 정보가 등록되지 않았다. 즉 USB 부팅이 불가하다는 것이다.

 

'Security' 탭의 Secure Boot 옵션도 소용이 없다.

 

'Save & Exit' 탭 관련 정보도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제 GPT 형식으로 구운 USB를 테스트해본다.

 

'Boot' 탭에서 'Boot Option Priorities' 항목아래에 'Boot Option #1'으로 등록되어 있다.

 

UEFI: SanDisk, Partition 1으로 지정되어 있다.

 

F10을 눌러 해당 정보를 저장하고 재부팅하면 USB로 부팅이 되어 Windows 10의 설치가 진행된다.

 

다음은 본 노트북의 해체 작업을 해봤다.

노트북 윗면 사진이다.

노트북 하단부 모습.

노트북 왼쪽에 위치한 입/출력 포트다. HDMI, USB 3.1과 USB-C 3.1 타입을 지원한다.

노트북 오른쪽 입/출력 포트다. 오디오잭을 포함하여 USB 2.0과 MicroSD card 리더 포트가 위치해 있다.

 

노트북 키보드와 마우스패드 모습이다.

중국에서 제조되었으며 2020년 3월생이라고 한다.

 

노트북 하단부에 있는 고무발 두개를 제거하면 스크류가 있는데 이것을 포함하여 9개의 스크류를 푼다.

노트북 하단부 케이스를 제거하니 내부 부품이 오밀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50wH를 공급하는 배터리가 있으며,

AMD Ryzen 5 3500U CPU의 발열을 식히는 쿨러가 보인다.

Cooling Bracket 아래에 CPU가 BGA형식으로 SMT 작업되어 있다.

노트북 M/B 품번이 기록된 라벨이 붙여져 있다. 향후 메인보드 AS를 위해 필요한 정보다.

NVMe M.2 SSD가 장착되어 있다. Sata3 SSD가 600MB/s의 전송속도를 내는 것에 비해 대략 1,600MB/s의 속도를 자랑한다.

 

내장 스피커가 장착되어 있다.

802.11 n/ac 무선랜과 블루투스 4.2를 지원한다.

 

 

전통적인 MBR 파티션과 새로운 GPT 파티션

 

전통적으로 사용되어온 MBR (Master Boot Record) 파티션에서는 최대 2TB까지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3TB 

이상의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온전히 사용하려면 GPT(GUID Partition Table) 파티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GPT 파티션에 운영체제를 설치하려면 메인보드에서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바이오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UEFI 바이오스에서 UEFI로 시작되는 장치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GPT 파티션 부팅은 윈도우 7 64bit와 윈도우 8/8.1/10에서 지원한다.

 

기존 MBR 파티션보다 GPT 파티션에서의 부팅 속도가 좀 더 빠르기 때문에 좀 더 빠른 시동을 위해 GPT 사용이 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용량이 작은 SSD에도 GPT 파티션을 많이 활용하는 추세이다.

반대로 UEFI 바이오스에서 MBR 파티션에 기존 바이오스 방식으로 설치하길 원한느 경우에는 UEFI 수식어가 붙지 않은 

장치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된다.

 

운영체제와 파일시스템


 

운영체제에 따라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은 차이가 있다.

파일시스템은 파티션별로 구성이 가능하다. 다른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운영체제를 동일한 파티션에 설치할 수는 없다.

동일한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운영체제라도 한 파티션에 하나만 설치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른 운영체제를 한 대의 

컴퓨터에 함께 설치하여 다중 운영체제 사용 환경을 만들려면, 반드시 다른 파티션상에 설치를 해야 한다.

 

과거에는 오랫동안 장수한 윈도우 XP상에서 안정화된 결제 솔루션이나 구동되는 게임 등이 많아 새 운영체제가 나온 뒤에도 윈도우 XP를 사용하기 위해 멀티 부팅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윈도우 7의 안정성이 검증되면서 멀티 부팅의 필요성은 거의 없어졌다.

그뿐만 아니라 윈도우 7 이상의 운영체제는 가상머신 기능을 지원하므로 필요하다면 윈도우 XP는 물론 다른 운영체제도 

가상머신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윈도우 운영체제는 FAT32 NTFS 파일시스템을 사용하지만 리눅스는 Linux Ext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며, 애플 맥은 HFS 

파일시스템을 사용한다. 다른 파일시스템에 있는 데이터는 직접 읽을 수 없지만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파일시스템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다.

웹서버로 리눅스 서버를 많이 사용하는데, 윈도우 컴퓨터나 맥 컴퓨터의 웹브라우저에서도 아무 문제 없이 접근할 수 

있으며, FTP로 접속하면 로컬 드라이브의 폴더나 파일처럼 사용할 수 있다.

 

지금은 다른 파일시스템의 파일을 읽어들일 수 있는 유틸리티도 많이 나와 있으므로 다른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외장형 

드라이브의 파일을 불러오는 작업도 어려울 건 없다.

 

운영체제용 파티션 전략

 

 

MBR 파티션만 있었을 때는 파티션 크기와 갯수 정도만 계획하면 되었지만, GPT 파티션이 등장한 다음부터는 운영체제용 

파티션을 어떤 종류로 선택할지부터 정해야 한다.

운영체제가 윈도우 7 32bit 이하라면 GPT 파티션을 사용할 수 없으나 윈도우 7 64bit 이상의 운영체제의 설치를 계획한다면 GPT 파티션 사용 여부를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MBR 파티션은 익숙한 방식이고, GPT 파티션과 비교했을 때 부팅 속도외는 디스크 읽기/쓰기 속도에는 영향이 없다.

GPT 파티션의 경우는 설치 시 바이오스 셋업에서 UEFI로 부팅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한다는 점과 내장형 ODD가 아닌 USB 인터페이스의 저장 장치를 이용하여 GPT 파티션에 설치하는 경우 별로 어려운 점은 없다.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DOS 명령을 내려보자 (명령 프롬프트) - II


DISKPART 명령어

 

'Diskpart' 명령어는 파티션 생성, 삭제 등 하드디스크의 파티션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이다.

하드디스크 구조를 바꿔 잘못 선택된 하드디스크에서 작업하면 데이터를 잃어버릴 수 있으므로 신중해야 한다.

 

명령 프롬프트에서 'diskpart'를 입력하면 프롬프트가 'DISKPART>'로 변경된다.

list disk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 목록을 보여준다. '크기'를 확인해 하드디스크를 구분한다.

 

select disk=0

작업 디스크 목록의 디스크 숫자를 입력한다.

 

list volume 

파티션 정보를 보여준다.

 

rescan

디스크 정보와 파티션 정보를 다시 읽어온다. 오프라인 상태이거나 절전 모드에서 잠자고 있는 하드디스크를 다시 읽어 들인다.

 

detail disk

선택한 디스크에 대한 상세 정보를 보여준다. USB 메모리, SSD, 하드디스크인지 확인하거나 부팅, 크래시 덤프 디스크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Diskpart 명령어로 부팅 미디어 만들기

'Diskpart' 명령어를 이용해 부팅 가능한 미디어로 만들기 위해서는 작업할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파티션을 선택했을 때 작업할 장치를 정확하게 선택했는지 확인해야 한다.

 

▶ 하나의 파티션을 생성하고 포맷하는 경우  

diskpart 명령어를 이용해 선택한 장치에 하나의 파티션만 생성하고 부팅용 드라이브로 지정한다.

 

clean 

선택한 장치를 초기화하여 디스크 정보 등을 삭제한다.

 

create partition primary

파티션을 만든다.

 

format fs=ntfs quick label=win10

NTFS 파일 시스템으로 빠른 포맷을 진행하고 'win10'이라는 볼륨명을 사용한다.

 

▶ 두 개의 파티션을 생성하고 포맷하는 경우 

diskpart 명령어를 이용해 파티션을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으로 구분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이때 확장 파티션에는 반드시 논리 드라이브를 만들어야 한다.

 

clean 

선택한 장치를 초기화하여 디스크 정보 등을 삭제한다.

 

create partition primary size=500

파티션을 만든다. 'select disk=3'을 지정하지 않으면 장치의 전체 용량을 하나의 기본 파티션으로 지정하므로 MB 단위로 크기를 지정한다.

 

create partition extended

하드디스크의 나머지 용량을 확장 파티션으로 지정한다.

 

create partition logical

확장 파티션 전체에 하나의 논리 드라이브를 만든다. 확장 파티션에 두 개 이상의 논리 드라이브르 만들기 이해서는 'size=논리 드라이브가 사용할 용량(MB)' 이라는 옵션을 추가한 후 'create partition logical'을 입력해 나머지 용량을 하나의 논리 

드라이브로 지정한다.

 

list partition

생성된 파티션 정보를 확인한다.

 

select partition 1

작업할 파티션을 선택한다.

 

▶ 파티션 삭제하기 

select disk=2

list partition 

장치를 선택하고 장치에 있는 파티션 정보를 확인한다.

 

select partition=2

작업할 파티션을 선택한다.

 

delete partition 

파티션을 삭제한다.

 

▶ 디스크 형식의 변환 

윈도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형식은 MBR 디스크와 GPT 디스크가 있고, 이들은 다시 윈도우에서 기본 디스크와 동적 디스크로 구분된다.

필요한 경우 convert 명령을 이용해 디스크 형식을 MBR 디스크 <-> GPT 디스크, 기본 디스크 <-> 동적 디스크로 변환 

시킬 수 있다.

디스크 형식 변환 시 주의할 점은 기본 디스크 -> 동적 디스크의 변환은 디스크의 데이터나 파티션 정보가 그대로 유지되지만, 동적 디스크 -> 기본 디스크의 변환이나 MBR 디스크 <-> GPT 디스크 변환은 기존 디스크 안의 모든 데이터, 파티션 

정보가 사라지고 새로 만들어지므로 반드시 데이터 백업 후 작업해야 한다.

 

list disk

select disk=1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하고 작업할 디스크를 선택한다.

 

convert dynamic

선택한 디스크를 동적 디스크로 변환한다.

----------------------------------------------------

list disk

select disk=1 

시스템에 장착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하고 작업할 디스크를 선택한다.

clean 

변환하기 전에 디스크의 정보를 삭제하고 진행한다.

convert GPT

선택한 디스크를 GPT 디스크로 변환한다.

MBR 디스크는 'conver MBR', 기본 디스크는 'convert Basic'을 입력한다.


컴퓨터 부팅 과정과 파티션에 대해 알아본다.

컴퓨터는 Booting 과정을 통해 디스크에 저장된 운영체제를 찾아 로딩하여 작업할 수 있는 운영 환경을 제공하는데, 사실 이 과정은 약속된 루틴(routine)으로 디스크의 특정 섹터를 읽는 방식을 사용한다.


MBR 파티션의 특징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대해 MBR 파티션은 주 파티션(Primary Partition, 기본 파티션)과 확장 파티션(Extended Partition)으로 구분된다. 주 파티션은 최대 4개까지 만들 수 있으나 논리 드라이브를 위한 확장 파티션을 만들 경우에는 3개까지 만들 수 있다.
확장 파티션 안에 제한 없이 논리 파티션을 만들 수 있다. 단 컴퓨터에서 사용 가능한 드라이브 문자는 알파벳 문자로 제한되며 FDD를 위해 예약된 A와 B를 제외하면 24개의 드라이브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는 주 파티션에 설치하는데, 이때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는 마스트 부트 레코드(MBR : Master Boot Record)가 기록되고, 운영체제를 설치하지 않은 다른 주 파티션에는 파티션 부트 레코드(PBR : Partition Boot Record)가 기록되며, 논리 파티션에는 EBR(Extended Boot Record)이 기록된다.

PBR에는 Booting partition인지 구별하는 플래그(Active/None)와 파티션 타입 아이디, 파티션의 시작과 끝, 드라이버 볼륨 및 파일 시스템 정보가 기록된다.
MBR에는 추가로 운영체제의 로딩에 사용되는 부트 로더 위치 정보가 기록된다.


▲ MBR 파티션 구조


GPT 파티션의 특징

GPT 파티션은 파티션 엔트리를 128바이트로 늘려 최대 128개의 주파티션을 만들 수 있으므로 확장 파티션은 사용하지 않는다.
GPT 파티션은 LBA(Logical Block Addressing) 주소 체계를 사용하므로 MBR 파티션의 CHS(Cylinder-Head-Sector) 주소 체계의 2TB보다 훨씬 큰 9.4ZB(Zeta Byte)까지 사용할 수 있다.
GPT 파티션에 대한 읽기/쓰기 작업은 Windows 7 64bit 이상의 운영체제에서 가능하고 32bit Windows 7과 Vista, XP는 읽기만 가능하다는 점도 유의하기 바란다.
GPT 파티션에도 Protective MBR이 있는데, 이는 GPT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운영체제가 빈 파티션으로 알고 덮어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이다.


컴퓨터 Booting시 운영체제의 로딩 과정


컴퓨터의 전원을 켜면 BIOS가 POST 과정을 수행한 후 운영체제를 적재하기 위해 MBR이나 GPT 파티션에서 부트 로더 위치를 알아내고 부트 로더 프로그램을 실행 후 제어권을 넘겨주도록 설계되어 있다.
Windows XP의 부트 로더는 NT로더(NTLDR)가 사용되며, Windows Vista부터 Windows 10까지는 부트매니저(BOOTMGR)가 사용되며,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는 LILO나 GRUB가 사용된다.

MBR 파티션에서 Booting 할 때는 BIOS가 POST 과정이 끝나면 BIOS의 부트스트랩 로더가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있는 MBR에서 부트 로더 위치를 알아내서 부트 로더를 실행하고 제어권을 부트 로더에 넘겨준다. 부트 로더는 부트 정보 파일(Windows XP는 BOOT.INI, Windows Vista부터 Windows 10까지는 BCD파일)을 참조하여 운영체제 커널을 로드한다.

GPT 파티션에서 Booting 할 때는 BIOS가 POST 과정이 끝나면 UEFI Firmware가 BIOS로부터 제어권을 넘겨받아 GPT 파티션의 맨 앞에 생성되는 EFI의 GUID를 식별하여 부트 로더를 실행하고 제어권을 부트 로더에 넘겨준다.
부트 로더에 의해 운영체제 커널을 로드하는 절차는 동일하다.

멀티 부팅 운영체제의 경우는 멀티 부팅 메뉴에서 사용자가 운영체제를 선택하면 비로소 해당 운영체제 커널(명령어 처리기)을 로드하는 프로그램이 작동한다.

Windows XP는 NTDETECT.COM 프로그램이 BOOT.INI 파일을 참조하여 운영체제 커널을 로드하고, Windows Vista부터 Windows 10까지의 운영체제에서는 WINLOAD.EXE 프로그램이 BCD 파일을 참조하여 운영체제 커널을 찾아 메모리에 로딩하여 실행한 후 제어권을 넘겨준다.

+ Recent posts